반응형
우리아이를 위한 제주 4.3 사건 이야기
1. 제주 4.3 사건이 뭐야?
1947년 3월부터 1954년까지 제주도에서 일어난 일련의 사건이야.
그중에서도 특히 1948년 4월 3일에 무장봉기가 일어나면서 이름이 ‘4.3 사건’으로 붙여졌어.
그 당시 제주도에서는 수많은 민간인이 억울하게 죽었고, 산으로 도망친 사람들도 많았어. 지금은 국가가 잘못한 일이라는 점을 인정했고, 해마다 4월 3일을 기념일로 추모하고 있어.
2. 왜 그런 일이 일어났을까?
💣 시대적 배경을 알아야 해
- 일제강점기(1910~1945): 우리는 일본의 식민지였어.
- 해방(1945): 8월 15일, 드디어 일본에서 해방됐어!
그런데 문제는… 누가 나라를 다시 세울지, 미국과 소련이 갈라서 관여하게 돼.- 북쪽은 소련, 남쪽은 미국이 군정을 펼쳤지.
🤔 갈라진 한반도, 커지는 혼란
- 남쪽에서는 이승만을 중심으로 단독정부(대한민국)를 세우려 했고,
- 북쪽에서는 김일성을 중심으로 또 다른 정부(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를 만들려 했어.
- 제주도 사람들은 "왜 우리나라가 갈라져야 해?" 하고 단독 선거에 반대했어.
3. 1948년 4월 3일, 무슨 일이 있었어?
- 4월 3일 새벽, 경찰서와 우익 단체(미국과 이승만 편에 선 사람들)를 공격한 사건이 있었어.
- 이걸 계기로 정부는 빨갱이(공산주의자) 색출 작전을 벌였고, 무고한 주민들까지 희생되기 시작했어.
- 산으로 도망친 사람들을 토벌한다며 마을을 불태우고 사람들을 죽이는 일이 일어났어.
4. 얼마나 많은 사람이 죽었어?
- 약 3만 명 이상이 희생됐다고 해. 제주도 인구의 10%가 넘는 숫자야.
- 군인이나 경찰만이 아니라, 어린아이와 노인, 여성도 희생됐어.
5. 지금은 어떻게 되고 있어?
- 이 사건은 오랫동안 '말도 못 꺼내는 금기'였어.
- 2000년대 들어서야 정부가 진상조사에 나섰고,
- 2003년 노무현 대통령, 2021년 문재인 대통령이 공식 사과했어.
- 지금은 제주 4.3 평화공원이 조성돼서, 희생자들을 추모하고 있어.
🖼️ 그 시대의 만평, 문화, 광고
1. 만평 (풍자그림)
- 1940~50년대에는 언론 자유가 별로 없어서 정권에 비판적인 만평은 거의 금지됐어.
- 하지만 일부 만평은 혼란한 정치 상황, 식량 부족, 전쟁의 공포 등을 그림으로 표현했어.
📌 예시:
- ‘이승만 독재’를 풍자하는 그림 (하지만 대부분 이후에나 공개됨)
- '자유당 정권' 시절, 부패한 관리나 배급 문제를 풍자한 만평
2. 문화
- 한복 대신 양복, 치마 대신 원피스 등 서구식 복장이 유행하기 시작했어.
- 미국 영화, 음악이 들어오면서 새로운 문화가 확산되었지.
- 하지만 동시에 전쟁과 정치 혼란으로 인해 사람들의 삶은 힘들었어.
📌 예시:
- 유행가: 백설희의 〈봄날은 간다〉(1953) → 슬픔과 그리움을 담은 대표곡
- 영화: 1950년대 중반부터는 한국 전쟁 이후를 배경으로 한 가족 이야기 영화가 많았어.
3. 광고
- 라디오 광고, 전단 광고, 잡지 광고가 생겨나기 시작했어.
- 대표적인 광고 제품: 비누, 화장품, 건강식품
📌 예시:
- “마이마이 비누는 깨끗하게, 맑게, 자신 있게!” 같은 단순한 문구
- 미국 브랜드 모방한 디자인도 많았어
✍️ 마무리 한 줄 요약
“제주 4.3 사건은 해방 이후 혼란 속에서 벌어진 비극적인 민간인 학살 사건이야. 지금은 그 아픔을 기억하고 다시는 반복하지 않도록 하는 일이 중요해.”
'시사,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4월 4일 11시 윤석열 대통령 탄핵 '기각' 후 예정되는 주요 사항 (0) | 2025.04.04 |
---|---|
4월 4일 11시 윤석열 대통령 탄핵 '인용' 후 예정되는 주요 사항 (0) | 2025.04.04 |
4월3일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사건, 유죄 확정! (1) | 2025.04.03 |
쳇GPT가 예측하는 탄핵 결과. 인용? 기각? (0) | 2025.04.03 |
'김수현 방지법' 청원까지 등장 (2) | 2025.04.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