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사,지식

트럼프, 韓에 25% 관세 폭탄”…자동차·반도체 주가 운명은?

by 지겨운방구석 2025. 4. 8.
반응형

 

25%의 상호관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025년 4월 3일, 한국을 포함한 주요 교역국에 대해 25%의 상호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이 조치는 미국의 만성적인 무역 적자를 해소하고 자국 산업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 상호관세의 의미와 영향:

  • 상호관세(Mutual Tariff): 미국이 특정 국가의 수입품에 대해 해당 국가가 미국 제품에 부과하는 관세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수준의 관세를 부과하는 정책입니다. 이를 통해 무역 불균형을 시정하고 공정한 무역을 촉진하려는 의도가 있습니다.
  • 한국에 대한 적용: 한국에는 25%의 상호관세가 부과되었으며, 이는 유럽연합(20%), 일본(24%)보다 높은 수준입니다. 그러나 철강, 알루미늄, 자동차 등 기존에 다른 관세가 부과된 품목은 이번 상호관세에서 제외되었습니다.

-  자동차 및 반도체 산업에 대한 영향과 관련주:

  • 자동차 산업: 한국산 자동차는 기존에 부과된 25%의 관세 외에 추가적인 상호관세는 적용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미국 시장 의존도가 높은 현대차, 기아 등은 여전히 관세 부과로 인한 가격 경쟁력 저하와 판매 감소 우려가 있습니다.​
  • 반도체 산업: 반도체는 상호관세 부과 대상에서 제외되었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추가적인 관세 부과를 시사한 바 있어 업계는 긴장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주요 반도체 기업들은 미국 시장에서의 경쟁력 유지와 공급망 안정을 위해 현지 생산 확대 등의 대응책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  수혜주 정리:

   이번 상호관세 부과로 인해 방산, 조선, 바이오 등 일부 업종은 상대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 방산주: 한화에어로스페이스, LIG넥스원 등은 미국과의 방위산업 협력 강화로 수혜를 입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 조선주: 한화오션, HD현대중공업 등은 글로벌 무역 환경 변화에 따른 선박 수요 증가로 긍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 바이오주: 삼성바이오로직스, 셀트리온 등은 관세 영향이 적은 분야로, 안정적인 성장이 기대됩니다.

-  투자 시 유의사항:

무역 정책 변화는 시장 변동성을 높일 수 있으므로, 투자 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각 기업의 미국 시장 의존도, 관세 부과 여부, 대응 전략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투자 결정을 내리는 것이 바람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