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빙,스타일

열대야 뜻과 기간

by 지겨운방구석 2025. 7. 1.

열대야 뜻과 기간

한밤에도 땀이 송글송글 맺히는 그 밤, 올해도 '열대야'가 시작됐습니다. 여름밤의 불청객, 열대야. 그 정체는 무엇이며, 2025년에는 언제부터 얼마나 지속될까요? 오늘은 열대야의 정확한 의미, 기준, 발생 원인, 그리고 올해 예보와 쾌면을 위한 팁까지 한눈에 정리해 드릴게요.

📌 목차

열대야란 무엇인가요?

열대야(熱帶夜)란, 밤에도 기온이 식지 않아 밤사이 최저기온이 25도 이상 유지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주로 오후 6시부터 다음날 오전 9시까지의 기온을 기준으로 측정하며, 잠을 방해하고 건강에 영향을 줄 수 있어 많은 이들에게 불쾌한 여름현상으로 여겨지죠.

💡 열대야 = 밤에도 '더운 날씨가 계속되는' 상태

열대야의 기준은 어떻게 정해지나요?

  • 기준 시간: 오후 6시 ~ 다음날 오전 9시
  • 기준 온도: 이 시간 동안의 최저기온이 25도 이상일 때

이는 단순히 기온이 높은 것을 넘어서, 냉방기 사용, 수면 질 저하, 심리적 피로 등 생활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에 기상청에서도 별도로 기록하고 예보합니다.

2025년 열대야 시작 시기 및 예상 기간

▶ 최근 10년간 열대야 평균 시작일

  • 서울 기준: 보통 7월 중순 (~15일)
  • 남부 지방: 7월 초부터 시작

▶ 2025년 열대야 시작 예보 (기상청 발표)

  • 서울/수도권: 7월 13일 전후
  • 부산/대구/광주: 7월 5~10일 사이
  • 제주: 6월 말부터 가능성 있음

🌍 2025년은 엘니뇨 종료 → 라니냐 영향으로 열대야 지속 가능성 ↑

도심일수록 열대야가 더 심한 이유

  • 아스팔트·콘크리트가 열 저장 → 밤에 방출
  • 에어컨 실외기 등 인공 열기 가중
  • 바람 통하지 않는 구조 → 냉각 방해

이런 현상을 ‘열섬현상’이라고 하며, 서울·대구·인천 등 대도시에서 더 두드러지게 나타납니다.

열대야 속 숙면, 어떻게 준비할까요?

  •  미지근한 물로 샤워
  •  에어컨은 수면 타이머 설정
  •  자기 1시간 전까지 수분 섭취
  •  아이스팩 or 쿨링매트 활용
  •  커튼·안대·귀마개로 환경 조성

2025 열대야 일수 예보 (주요 도시)

도시 예상 시작일 예상 종료일 예상 일수
서울 7월 13일 8월 18일 약 22일
부산 7월 5일 8월 20일 약 27일
대구 7월 6일 8월 25일 약 30일
광주 7월 8일 8월 21일 약 25일
제주 6월 28일 8월 22일 약 35일

열대야 관련 흥미로운 TMI

  • 대구는 한 해에 35일 이상 열대야가 지속된 적 있음
  • 열대야가 7일 이상 지속되면 온열질환 급증
  • 2023년 서울, 최저기온 30.4도 기록 (역대 최고)

마무리하며

2025년 여름도 ‘뜨거운 밤’이 예고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열대야의 정확한 뜻과 발생 시기, 그리고 수면 관리 방법까지 미리 알고 준비한다면 훨씬 쾌적하고 건강한 여름밤을 보낼 수 있겠죠.

기상청의 열대야 예보를 주기적으로 확인하고, 가정에서도 수면환경을 조금만 개선해보세요.
더운 여름밤을 이기는 작은 노력이 일상의 질을 바꿉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