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빙,스타일

기호 3번이 공란인 이유는? 2025년 대선 투표용지의 궁금증 해소!

by 지겨운방구석 2025. 5. 12.
반응형

 

2025년 제21대 대통령 선거가 다가오면서 많은 유권자들이 후보자 기호에 대한 관심을 보이고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유독 눈길을 끄는 건 바로 **기호 3번의 ‘공란’**입니다.

“왜 기호 3번은 비어 있나요?”
“원래 결번이 가능한가요?”

이 글에서는 2025년 대선에서 기호 3번이 결번이 된 배경과 의미, 그리고 공직선거법에 따른 기호 배정 기준까지 하나씩 정리해드립니다.


✅ 기호 3번이 공란인 이유는?

2025년 대통령 선거에서 기호 3번은 조국혁신당이 후보를 등록하지 않으면서 결번 처리되었습니다.

공직선거법 제150조에 따르면, 후보자 기호는 국회 의석수를 기준으로 각 정당에 우선 부여됩니다.
그 결과 이번 대선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호가 부여되었습니다:

기호 후보자 소속
1번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2번 김문수 국민의힘
3번 (결번) 조국혁신당 (후보 미등록)
4번 이준석 개혁신당
5번 권영국 민주노동당
6번 구주와 자유통일당
7번 황교안 무소속
8번 송진호 무소속
 

기호 3번을 받을 자격이 있던 정당(조국혁신당)이 후보를 내지 않자, 해당 번호는 건너뛰고 그대로 비워두게 된 것입니다.

반응형

✅ 기호는 왜 이렇게 부여되나요?

공직선거법 기준에 따르면 기호 부여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됩니다:

  1. 정당 소속 후보에게 우선 기호 부여
  2. 국회의석수가 많은 정당부터 차례로 기호 부여
  3. 의석이 없는 정당은 정당명 가나다순
  4. 무소속 후보는 추첨으로 번호 부여

👉 따라서 기호는 절대 ‘인기순’이나 ‘지지율’ 기준이 아닙니다.
오직 ‘의석수’와 ‘법적 절차’에 따라 자동 부여되죠.


✅ 그런데 왜 그냥 번호를 재정렬하지 않을까요?

많은 분들이 이렇게 생각합니다:

“그럼 그냥 3번을 건너뛰지 말고, 뒤에 있는 후보들 번호를 당기면 되는 거 아닌가요?”

하지만 이는 후보자 기호에 따른 유권자의 혼란을 막기 위해 금지된 행위입니다.
선거 공고 시 이미 공지된 후보자 기호는, 일관되게 유지되어야 하며 변경할 수 없습니다.
또한 이미 제작된 선거 포스터, 홍보물, 공보물 등의 기호 혼선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도 있습니다.


✅ 실제 투표용지에서는 어떻게 보일까?

기호 3번은 실제로 공란으로 표시되며, 기표란은 없고 이름도 없는 빈 칸으로 처리됩니다.

  • 투표용지에선 ‘기호 1번’, ‘기호 2번’, (공란), ‘기호 4번’ … 순서로 이어집니다.
  • 유권자는 빈 칸에 기표할 수 없으며, 3번에 표를 하게 되면 무효표 처리됩니다.
반응형

✅ 정리하자면

  • 기호 3번 결번 사유: 조국혁신당이 후보를 내지 않아 발생
  • 번호를 비워두는 이유: 공직선거법상 이미 부여된 기호는 유지되어야 하며, 혼선 방지를 위해 변경 불가
  • 실제 투표용지: 기호 3번은 공란으로 인쇄되며 기표 불가

✅ 유권자를 위한 팁

  • 투표 전 반드시 후보자 기호와 이름을 정확히 확인하세요.
  • 공란(기호 3번 등)에는 표를 하면 무효 처리됩니다.
  • 궁금한 공약이나 후보 정보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서 쉽게 조회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