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제21대 대통령 선거가 다가오면서 많은 유권자들이 후보자 기호에 대한 관심을 보이고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유독 눈길을 끄는 건 바로 **기호 3번의 ‘공란’**입니다.
“왜 기호 3번은 비어 있나요?”
“원래 결번이 가능한가요?”
이 글에서는 2025년 대선에서 기호 3번이 결번이 된 배경과 의미, 그리고 공직선거법에 따른 기호 배정 기준까지 하나씩 정리해드립니다.
✅ 기호 3번이 공란인 이유는?
2025년 대통령 선거에서 기호 3번은 조국혁신당이 후보를 등록하지 않으면서 결번 처리되었습니다.
공직선거법 제150조에 따르면, 후보자 기호는 국회 의석수를 기준으로 각 정당에 우선 부여됩니다.
그 결과 이번 대선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호가 부여되었습니다:
기호 | 후보자 | 소속 |
1번 | 이재명 | 더불어민주당 |
2번 | 김문수 | 국민의힘 |
3번 | (결번) | 조국혁신당 (후보 미등록) |
4번 | 이준석 | 개혁신당 |
5번 | 권영국 | 민주노동당 |
6번 | 구주와 | 자유통일당 |
7번 | 황교안 | 무소속 |
8번 | 송진호 | 무소속 |
→ 기호 3번을 받을 자격이 있던 정당(조국혁신당)이 후보를 내지 않자, 해당 번호는 건너뛰고 그대로 비워두게 된 것입니다.
✅ 기호는 왜 이렇게 부여되나요?
공직선거법 기준에 따르면 기호 부여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됩니다:
- 정당 소속 후보에게 우선 기호 부여
- 국회의석수가 많은 정당부터 차례로 기호 부여
- 의석이 없는 정당은 정당명 가나다순
- 무소속 후보는 추첨으로 번호 부여
👉 따라서 기호는 절대 ‘인기순’이나 ‘지지율’ 기준이 아닙니다.
오직 ‘의석수’와 ‘법적 절차’에 따라 자동 부여되죠.
✅ 그런데 왜 그냥 번호를 재정렬하지 않을까요?
많은 분들이 이렇게 생각합니다:
“그럼 그냥 3번을 건너뛰지 말고, 뒤에 있는 후보들 번호를 당기면 되는 거 아닌가요?”
하지만 이는 후보자 기호에 따른 유권자의 혼란을 막기 위해 금지된 행위입니다.
선거 공고 시 이미 공지된 후보자 기호는, 일관되게 유지되어야 하며 변경할 수 없습니다.
또한 이미 제작된 선거 포스터, 홍보물, 공보물 등의 기호 혼선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도 있습니다.
✅ 실제 투표용지에서는 어떻게 보일까?
기호 3번은 실제로 공란으로 표시되며, 기표란은 없고 이름도 없는 빈 칸으로 처리됩니다.
- 투표용지에선 ‘기호 1번’, ‘기호 2번’, (공란), ‘기호 4번’ … 순서로 이어집니다.
- 유권자는 빈 칸에 기표할 수 없으며, 3번에 표를 하게 되면 무효표 처리됩니다.
✅ 정리하자면
- 기호 3번 결번 사유: 조국혁신당이 후보를 내지 않아 발생
- 번호를 비워두는 이유: 공직선거법상 이미 부여된 기호는 유지되어야 하며, 혼선 방지를 위해 변경 불가
- 실제 투표용지: 기호 3번은 공란으로 인쇄되며 기표 불가
✅ 유권자를 위한 팁
- 투표 전 반드시 후보자 기호와 이름을 정확히 확인하세요.
- 공란(기호 3번 등)에는 표를 하면 무효 처리됩니다.
- 궁금한 공약이나 후보 정보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서 쉽게 조회할 수 있습니다.
'리빙,스타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통령선거 알바 신청 (+종류와 수당) (0) | 2025.05.12 |
---|---|
소시오패스 테스트 바로 알아보기: 혹시 내주변 소시오패스 골라내기 (0) | 2025.05.12 |
행복지원대출 신청. 금리 및 한도비교 (1) | 2025.05.12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공약 : 국민이 중심인 변화, 지금확인하기 (0) | 2025.05.12 |
대선 후보 기호 번호 어떻게 정해질까?, 이재명 후보가 1번인 이유는? (0) | 2025.05.12 |